뜨거운 음식 그냥 삼겨커리면 식도암 '빨간 불' > 보도자료(영문)

KOREAVEIN

Central Varicose Vein Clinic

All surgeries are performed safely using semi-sedation and local anesthesia.

보도자료(영문)

뜨거운 음식 그냥 삼겨커리면 식도암 '빨간 불'

작성일 2014.02.18

 235

식도암은 암중에서 가장 치료하기 어렵고 결과도 좋지 않은 암중의 하나이며, 최근 발병률이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약 1500~1600명의 식도암 환자가 발생하며, 이중 약 20%에 해당하는 350명 정도가 수술을 받습니다. 2000년도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식도암은 국내 암 사망률 7위에 해당하는 암입니다.

50대 이후부터 연령이 올라갈수록 그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며 60대에서 제일 많이 나타납니다. 식도는 그 맨 외층 부위에 '장막'이라는 일종의 외피막이 없어서 그 진행이 매우 빠르고 치료가 몹시 어렵습니다. 식도점막하층을 침범하면 약 환자 반수에서 이미 임파선 전이가 발견되며 그 전이위치도 복부, 흉부, 경부 등 아주 여러 구역입니다. 전이가 없다 하더라도 식도주위에 대동맥, 기관지 등 중요한 기관들이 인접해 있어 조금만 진행되어도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흡연, 음주, 자극성 음식 등이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독한 술과 담배를 같이 하는 경우 그 발생빈도가 더 높아집니다. 대부분의 진행성 식도암환자의 경과를 보면 연하곤란(음식을 삼키기 어려움)이 나타난 후에 진단되면 대개 2~3개월 내에 죽 같은 유동식밖에 섭취할 수 없게 되고, 그 후 2~3개월 이내에 대개 사망할 정도로 진행이 빠릅니다. 건강 진단 시에 위내시경 등을 통해 발견되는 증상이 없는 식도암일 경우 그 표면이 평탄하고 크기도 작은 경우가 많아 식도암 중에서는 가장 치료될 확률이 높습니다.

식도암의 치료에는 외과적 요법, 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이 있으며 이중에서는 외과수술이 식도암치료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진행된 암의 경우에는 외과요법과 방사선요법, 화학요법을 조합하여 각각의 특징을 살린 복합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먼저 외과요법에는 근치술이라 하여 암을 육안적으로 완전제거하고 임파절을 충분히 제거한 후 식도재건술을 시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암이 작고 목 부위의 식도에만 있으며 주위로 퍼지지도 않은 경우 목 부위의 식도만을 잘라내고 그 주위의 임파절을 다 제거한 후 작은창자의 일부(약 20cm 정도)를 이식 수술해 줍니다.

식도암이 가슴 아래쪽에 있을 경우 우선 개복술을 시행하여 복부 임파절을 다 제거한 후 식도재건술에 이용할 위장이나 대장을 박리하여 재건술 준비를 마친 후 복부를 봉합합니다. 그 다음 환자의 자세를 옆으로 한 후 가슴을 열어서 흉부임파절제거술을 한 후 암이 있는 흉복부식도를 절제한 후 위장이나 대장을 가슴으로 끌어 올려서 흉부식도의 남은 부분과 봉합합니다.

임파절로의 전이가 심하거나 다른 장기에까지 퍼진 진행성 식도암, 또는 고령이나 합병증 등 조건이 나빠 근치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암의 일부만 제거하거나 암은 그대로 둔 채 별도로 음식물이 경로를 만들어 일시적이나마 먹을 수 있게 하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현재로서는 외과수술 요법이 주된 치료법이며 연간 50건 이상의 식도암 수술을 하는 병원의 경우 수술 사망률은 많이 향상되어 약 5% 정도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암의 수술사망률에 비하면 높은 편입니다. 근치적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5년 생존율은 최근 급격히 향상되어 30~40%에 달합니다. 그러나 다른 장기로 암이 퍼진 경우 수술 후 1~2년 사이에 재발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방사선요법은 수술과 병용해서 수술 후 남은 암을 더 제거하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암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항암제치료는 대체로 다른 장기에 암이 퍼졌을 때 시행하며 단독으로 하기도 하고 수술이나 방사선요법과 병용하기도 합니다.

<글= 센트럴흉부외과 원장 김승진(흉부외과 전문의)>

기사 바로보기 : http://www.hidoc.co.kr/Hidoc/News05.aspx?moduleID=410&mode=view&srno=22126
go top